고려를 최전성기로 이끈 단 한번의 싸움


28828915605887210.jpg

(11세기 당시의 동북아의 정세)




성종 치세의 요나라는 최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요나라는 1004년 송나라에 쳐들어가서 현재의 하북성을 휩쓸었고


송나라는 "120만 대군을 동원해 요를 정벌하겠다"고 했으나....


순식간에 털리고


매년 은 10만냥과 비단 20만필을 바치는 대가로 평화를 구걸하는


굴욕적인 "단연회맹"을 맺어야만 했습니다.


이제 다음 차례는 고려


이미 두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공한바 있었지만


28828915605887211.jpg

(세치 혓바닥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한 서희)



첫번째 침입은 서희의 말빨에 말려 고려 좋은 일만 해주고 왔고


두번째 침입은 성종이 직접 40만 대군으로 쳐들어와


통주 전투에서 강조를 죽이고 개경을 함락시켰지만


양규, 김숙홍등의 활약으로 보급로가 끊겨 곤란해진데다


마침 고려가 친조하겠다 약속하자 받아들이고 물러나던 와중에


흥화진, 압록강 등지에서 고려군의 반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고 후퇴하게 되죠


당시 기록에는 2차 침입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거란이 크게 패하여 장족(거란의 귀족출신 장교)과 병졸, 수레도 돌아온 것이 드물었다.



관리도 태반이나 전사했다. 이에 유계(幽薊:하북지방) 지방에 영을 내려


일찍이 벼슬을 구하던 자와 글을 아는 자를 뽑아 그 결원을 보충하였다.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송나라의 기록


군사를 돌이킴에 항복하였던 여러 성(城)이 다시 고려로 돌아섰다. 


귀주(貴州) 남쪽 준령곡(峻嶺谷)에 이르자 큰비가 내려 말과 낙타가 모두 지쳤다


갑옷과 무기는 대부분 잃어버리거나 버리고 비가 개인 후에야 강을 건너게 되었다



-요사본기(遼史本紀) 성종(成宗) 통화(統和) 29년 정월조 , 요나라의 기록


거란 군사는 여러 장수들에게 초격되었고,


또 큰 비로 인하여 말과 낙타가 지쳤으며 무기를 모두 잃어버렸다.


계묘일에야 압록강을 건너 군사를 이끌고 물러가는데,


진사 정성(鄭成)이 이를 추격하여 그들이 반쯤 건너갔을 때에 뒤에서 치니


거란 군사 중에 물에 빠져 죽은 자가 매우 많았다. 항복했던 여러 성이 모두 수복되었다.



-고려사절요 현종 2년(1011년)


물론 친조약속은 지켜지지도 않았으며


인질로 요나라로 잡아온 대신 하공진은


성종이 배필까지 맺어주며 회유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몰래 탈출하려다 잡혀 처형당했습니다.


결국 2차례의 침입에서 아무것도 얻은 것 없이 피해만 입은 셈이 되었죠


결국 2차 침입으로 부터 8년후인 1018년


요나라 황제의 친위대인 우피실군(右皮室軍)을 주력으로 하는 10만의 병력을 소집하고


몽골 정벌, 송나라와의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으며


2차 고요전쟁에도 참전하여 고려군을 격파한 적이 있는


선왕의 부마이자 동평군왕(東平郡王) 소배압 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동경유수 야율팔가, 객성사 작고를 비롯하여 여러 장군들을 소집하여


고려 침공을 명령합니다


28828915605887212.jpg

(금의 공격으로 망한후 서쪽으로 이주해 새로 건국한 서요(카라키타이) 병사와 장교의 모습)



고려에 쳐들어온 요나라군 역시 거란, 몽골, 여진, 발해, 그외의 서역의 여러 민족이 섞여 있었을 테니


귀주대첩 시기의 요나라군도 크게 다른 모습은 아니었을 것이다.


소배압은 2차 침입 당시 고려에 이미 한번 왔던 적이 있었고


당시처럼 성 하나하나 함락시키고 가면 끝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전략이 바로 "전격전"


고려군이 모일 시간을 주지 않고 중간의 성들과 도시들을 피해


개경으로 무조건 직진해서


왕이 도망칠 틈을 주지 않고 사로잡아 전쟁을 끝낸다는 것이었는데


이건 요나라군 10만 모두가 기병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가능한 것이었고


또한 이 작전은 훗날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가 써먹었던 작전과 동일한 것이었습니다


(물론 결과는 달랐지만...)


하지만 고려측은 이미 왕래하던 상인들을 통해 요나라의 침공소식을 알고 있었고


미리 준비를 해두고 있었죠



28828915605887213.jpg

(고려시대의 갑옷 유물과 복원품)



요나라군이 출발했다는 소식이 들리자


고려군 총사령관 강감찬은 부원수 강민첨에게 12,000의 병력을 줘서 보냈고


강민첨은 압록강의 지류인 삼교천의 물을 막고 흥화진에 매복합니다


요나라군의 선두에 섰던 원심탄자군(遠探攔子軍)과


타초곡기(打草谷騎) 를 주축으로 하는 부대가 먼저 삼교천을 건너고


뒤이어 후속 주력 부대들이 뒤이어 강을 건너려 하자


강민첨은 상류에서 막아 놓았던 강물을 터뜨립니다.


급류가 몰아쳐와 후속 부대가 강을 건너지 못하고 버벅거리는 사이


먼저 강을 건넌 원심탄자군과 타초곡기에게


매복하고 있던 강민첨이 이끄는 고려군이 공격을 가해왔습니다.



28828915605887214.jpg

수공(水攻)은 흔히 알고 있는 강물로 적을 쓸어버리는게 아니라


실제로는 강을 건너는 적의 군대를 둘로 나눠서 각개격파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강물만 가지고 적을 다 쓸어버리는건 불가능하기도 하고...



원심탄자군과 타초곡기는


뒤는 급류가 몰아치는 강물에 막히고 앞은 고려군에게 포위당했는데


애초에 정찰과 수색, 약탈, 보급을 담당하기 때문에


무장이 빈약하던 그들은 순식간에 궤멸당해 버렸습니다


그리고 요나라군은 그들이 전멸당하는 동안


강건너에서 발만 동동거리며 보고있을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렇게 "흥화진 전투"에서 요나라군의 정찰과 보급을


전문적으로 전담하는 부대들이 전멸당했고


그리하여 전문적인 정찰병력이 부족해진 요나라군은


이후 고려군의 매복공격과 기습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됩니다


하지만 고려군 총사령관 강감찬은 소배압의 진정한 의도를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죠


보통 중국에서 고려로 들어오는 통로는 2개가 있었는데


그것은


의주-흥화진-통주-곽주-안복부-숙주-서경-평주-개경으로 이어지는 남로(南路)


의주-흥화진-천마-귀주-태주-개주-순천-수안-평주-개경으로 이어지는 북로(北路)


였습니다

남로는 해안을 따라 난 통로로 가장 많이 이용되었으며


북로는 내륙을 통한 길로 험하고 장애물이 많은 통로였지요


일반적으로 고려에 쳐들어온 적들은 대부분 남로를 택했고


몇년전 있었던 2차 고요전쟁에서의 요나라군 역시 남로를 통해 남하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당연히 요나라군이 남로를 통해 올 것이라 예상한 고려군은


남로에 속한 영주(현재의 평안남도 안주)에 병력을 집중시키고 있었습니다만


뜻밖에도 소배압이 택한 통로는 북로였습니다


그리고 요나라군은 북로를 통해 빠르게 남하하여


남로에 집결하고 있던 고려군 주력을 피해 고려군의 등뒤로 돌아와버렸죠


생각지 못한 요나라군의 움직임에 허를 찔린 강감찬은 급히 명령을 내립니다.


"부원수 강민첨은 1만 4천의 기병을 줄테니 즉시 거란군을 추격하여 요격하라"


"병마판관 김종현은 1만의 철기(鐵騎)를 줄테니 전력을 다해 개경으로 달려 방어하라"


"동북면에서 오고 있는 지원군 3300명은 즉시 개경성으로 향하여 방어군에 합류하라"


"그리고 나머지 병력은 남로와 북로의 교차점으로 남하하며 재집결한다"


고려군의 주력부대를 따돌리는데 성공한 소배압은 쾌재를 올리며 개경으로 달렸습니다.


이제 승부는 김종현과 동북방면 고려군이 개경에 먼저 당도하느냐


소배압의 군대가 개경에 먼저 당도하느냐의 시간과의 싸움이 되고 만 것이었습니다.



28828915605887215.jpg

(보물 제588호 강민첨 초상화)

강민첨이 이끄는 고려군은 최대 속도로 남하하여 요나라군을 후미를 따라잡는데 성공했고

개경으로 남하하는 요나라군의 엉덩이를 계속 찔러댓습니다

특히 자주 내구산 전투에서는 요나라군 부대 하나를 따라잡아 공격하여 궤멸시키기도 했지요

하지만 요나라군은 계속해서 엉덩이를 찔리면서도 앞만 보면서 달렸습니다.

피해가 좀 나더라도 고려왕을 잡으면 충분히 만회가 된다는 일념이었지요

요나라군에게 다른 성들은 안중에 없으며 목표는 개경성뿐이라는걸 알게된 고려군은

자신들이 지키던 성에서 뛰쳐나와 곳곳에서 요나라군을 괴롭혔습니다

특히 대동강을 건너려는 요나라군을

시랑 조원이 이끄는 고려군이 서경 동쪽의 마탄(馬灘)에서 습격하여

1만이나 되는 요나라군을 격멸하는 대승을 거두기도 했죠

참고로 마탄(馬灘, 말여울) 이라는 지명이 생긴 이유가 바로 이 전투였습니다

수많은 죽은 말들이 떠내려와 산처럼 쌓여서 마탄 이라고 불리우게 ?瑩熾?/p>


28828915605887216.gif

(김종현군은 남로의 최단경로를 전속으로 달려 결국 요나라군을 따라잡는데 성공한다 )



1019년 1월 3일


요나라군은 드디어 개경에서 40km거리의 신은현(현재의 신계)에 도달합니다


이 소식은 즉시 개경에 알려졌고


고려왕 현종은 성밖의 백성들을 모두 성안으로 대피시킨후


성밖의 식량과 건초등을 치워 버렸습니다


이번에는 무슨 일이 있어도 개경을 사수하겠다는 의지였지요


얼마 지나지않아 요나라군의 선발대 300여명이 개경의 통덕문에 도달합니다


그들은 자신들은 요나라로 되돌아 간다고 알려주고 사라지는데


이건 고려측의 반응을 떠보기 위함이었고


이에 현종은 결사대 100여명을 보내어 금교역에서 이들을 습격하여 전멸시킵니다.


아직 고려측의 지원군이 도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숨기기 위해서였겠죠



28828915605887217.jpg

(전성기 개경은 인구 50만의 대도시였다)



그리고 뒤를 이어 김종현의 부대가 개경에 도달했고


고려의 지원군이 개경에 당도했다는 소식에


소배압은 개경을 함락시키는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퇴각을 결심합니다


요나라군이 퇴각하자 김종현은 자신이 지휘하는 철기 1만을 이끌고 그들의 뒤를 밟기 시작합니다


강민첨에 이어 김종현의 군대까지 요나라군의 뒤에 따라붙기 시작하자


요나라군은 그들을 따돌리려 했고


어느 정도는 성공해서 각자 다른 루트를 통해 추격하던


김종현과 강민첨과의 거리를 조금은 벌리게 됩니다


하지만 그들의 앞에는 강감찬이 지휘하는 고려군 본대가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남로에서 북로로 진입한 고려군 본대는 순안과 개천에서 요나라군의 소규모 부대를 만나 격파했고


요나라군 본대가 자신들의 주변 어딘가에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28828915605887218.jpg

요나라군이 강민첨과 김종현의 추격을 뿌리치기 위해 영변, 박천, 대천, 귀주방면으로 기동하는 사이


고려군 본대는 즉시 귀주로 향하는데


어느 방향으로 가건 요나라로 가기위해서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관문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1019년 2월1일(양력 3월 1일)


자신들이 온 북로를 따라 태주에서 귀주방면으로 퇴각하던 요나라군 10만 앞에


거의 20만에 달하는 고려의 대군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본국으로 돌아가려면 만드시 통과해야 하는 곳이 귀주였기에


결전을 피할수 없다는 판단하에 요나라군은 전투 준비에 들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장수들의 의견은 갈리게 되는데


대부분의 장수들의 의견은 신중을 기하자였습니다


그냥 다하(茶河)와 타하(蛇河)를 고려군과 사이에 두고 진을 치고 있다가


고려군이 강을 건너오기를 기다려 공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하지만 동경유수 야율팔가의 의견은 달랐죠


Author

Lv.99 유북지기  최고관리자
1,267,164 (10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Close
ㅇㅇ
뒤는 왜 없는거야 감질나게...
마저보셈
https://www.instiz.net/pt?no=6097703
ㄷㄷ
그래봤자 몽골때..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