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변이'로 인한 위대한 발견


  • 이 흰색이 된 것은 약 1만 년 전 붉은 색이었던 야생 벼의 한 유전자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했기 때문이며

    이후 흰쌀 벼는 초창기 농부들의 적극적인 재배로 전 세계로 확산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코넬대 수전 R. 매코치 교수와 충북대 조용구 교수, 농업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박용진 박사팀은

    21일 현재 재배되고 있는 흰쌀 벼 품종의 97.9%가 약 1만 년 전 야생 붉은 쌀 벼였던 자포니카종의 한 유전자에서

    발생한 돌연변이로 인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초창기 농부들이 야생 붉은 쌀 품종보다 흰쌀 벼를 선호해 널리 확산시킨 것으로 추정했다.

    벼 꽃가루는 자연상태에서 10m 이상 퍼지기 어렵기 때문에 인위적인 확산활동이 없었다면 

    지금처럼 널리 퍼지기 어렵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초창기 농부들이 흰쌀 벼를 선호하게 된 데에는 

    흰쌀의 경우 수확 후 붉은 쌀보다 껍질 벗기기나 해충 골라내기 등이 쉽고

    쌀알의 강도도 붉은 쌀보다 약해 더 적은 연료로 쉽게 요리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먹을 때 알아둘 점 

    자두속 식물의 씨앗에는 원래 시안화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복숭아나 매실 씨앗의 겉껍데기를 쪼개면 
    속에서 아몬드처럼 생긴 속알맹이가 나오지만 먹으면 안 된다. 야생의 아몬드도 시안화칼륨이 함유되어 있어 
    많이 먹으면 죽을 수도 있다. 그래서 추리소설 등에서 청산가리로 사망한 시체에 아몬드 냄새가 난다는 묘사가
    많이 나온다. 다량의 야생 아몬드를 과실주로 담가먹을 시, 위와 같은 이유로 죽을 수 있다.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저서 총,균,쇠에서 이야기하는 바로는, 원래 야생 아몬드 대부분이 시안화칼륨이 있어서 먹어서는
    안될 것으로 인식되었었는데, 다람쥐같은 동물들이 독성이 없는 것만 골라 먹는 것을 보고, 
    독성이 없는 아몬드만 골라 재배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먹게 되었다고 한다.

    쉽게말하자면 현재 우리들이 먹는 아몬드들은 돌연변이들을 선택 재배함으로서 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

Author

Lv.99 유북지기  최고관리자
1,267,164 (10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