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학생들의 주거난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가 기숙사를 확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자 인근 원룸 건물과 하숙집 주인들이 생존권을 보장하라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학생들의 주거권과 하숙집의 생존권 사이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김아영 기자의 생생 리포트입니다.
<기자>
서울 이화여대 앞에서 아침부터 시위가 한창입니다.
인근 원룸 건물과 하숙집 주인들입니다.
[각성하라. 각성하라.]
[집회 참가자 : 집회하고 있는데, (기숙사) 공사차량이 다니는 건 말이 안 되는 거 아니냐고요.]
이화여대는 2016년까지 2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숙사를 완공하기로 하고 최근 공사를 시작했습니다.
8%에 불과한 기숙사 수용률을 20%까지 끌어올리겠단 겁니다.
[류창수/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저희는 학생들의 주거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경희대와 고려대도 기숙사를 신축하기로 했다가, 임대업자들의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기숙사 신축이 대학가의 엉뚱한 갈등을 가져온 겁니다.
[대학가 주변 공인중개사 : (앞으로도) 빈방이 자꾸 늘어난다는 거죠. (부동산도) 중개 수수료가 안 들어오니까 문제가 많죠.]
학생들이 기숙사를 선호하는 건 당연합니다.
이렇게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까지 쉽게 이용할 수 있는데다 비용상의 이점도 크기 때문입니다.
기숙사생과 자취생의 거주 비용을 비교해봤습니다.
한 달 주거 비용이 60만 원 가까운 자취생에 비해 기숙사생은 한달에 20만원 정도만 부담합니다.
1천만 원의 보증금 부담도 없고, 짧은 통학거리도 큰 이점입니다.
기사 전문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585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