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북 앱 다운로드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이 사람의 이름은 Willie Vicarage로 세계1차대전에 참전한 군인이다. 

그는 1916년 5월 31일, 유틀란트해전(Battle of Jutland)때 얼굴에 심한 부상을 당했다. 

아래는 당시 성형전문의 Sir Harold Gillies가 개발한 'tubed pedicle'을 이용한 치료로 다친 군인의 가슴이나 이마에서 얻은 피부판을 튜브형으로 치료부위에 붙임으로서 기존 혈류를 유지하고 오염의 위험을 줄였다.





항생제도 개발되지 않은 1920년대에 이런 의술이 가능했다니 참으로 놀랍네요...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14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15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16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17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18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19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20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21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22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23



이건 치료 중간에 찍은 엑스레이 사진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24




사진을 봐도 잘 이해가 안가서 어떤 식의 치료인가 찾아봤는데 이 그림이 좀 더 이해가 가네요..

당근 약혐입니다




[약혐] 전쟁에서 다친 군인의 복안법 - 공포속의 작은 공간 -  : download.jsp?FileID=25404525

Author

Lv.99 유북지기  최고관리자
1,267,164 (10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유머게시판 베스트

글이 없습니다.

Comments Close
오..
  • 글이 없습니다.

Total 17,152 Posts, Now 1 Page

공지 필독 공지사항 (2021-04-11 어그로성글 댓글 차단) [168]
추천 79 | 2018.07.30
잠든 동생 목을 도끼로 잘라낸 형 ㅎㄷㄷㄷㄷ
추천 0 | 2024.07.26
전세계가 경악한 일본 역사상 최악의 사건
추천 0 | 2024.06.18
인기 조상님들이 첫날밤을 훔쳐보게된 이유
추천 0 | 2023.11.01
인기 한국 전래동화 중 가장 기괴한 동화
추천 1 | 2023.08.03
인기 731부대 조선인 최초 피해자
추천 1 | 2023.07.29
인기 한밤중에 방문한 기이한 식당의 정체
추천 0 | 2023.06.15
인기 최근 유행하는 공포물들
추천 0 | 2023.05.07
인기 미국 912명이 집단 자살
추천 1 | 2023.04.12
인기 살인마 빌런 [1]
추천 2 | 2023.03.02
인기 전세계에 존재하는 오싹한 경고문들
추천 0 | 2022.11.20
인기 어느날부터 이마에 X 표식이 보인다.
추천 1 | 2022.11.19
인기 대순진리회 경험담(요약 있음)
추천 0 | 2022.11.14
인기 대한민국에서 가장 기괴했던 사건
추천 0 | 2022.11.03
인기 이름이 매번 바뀌는 수상한 울산 모텔
추천 0 | 2022.10.22
인기 허지웅의 이해하면 무서운 이야기
추천 0 | 2022.10.03